미용사 국가 자격증 4종
미용사 국가 자격증 종류는 미용사(네일), 미용사(메이크업), 미용사(일반), 미용사(피부)가 있다 각각의 자격증 마다 취득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 자료출처(한국산업인력공단 큐넷)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 https://c.q-net.or.kr
자격명: 미용사(네일)
미용사(네일)자격증에 대한 개요를 살펴보면 네일미용에 관한 숙련기능을 가지고 현장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전문기능인력을 양성하고자 자격제도를 제정한다.
수행 직무로는 손톱·발톱을 건강하고 아름답게 하기 위하여 적절한 관리법과 기기 및 제품을 사용하여 네일 미용 업무를 수행하는 것이다.
진로 및 전망을 살펴보면 네일미용사, 미용강사, 화장품 관련 연구기관, 네일 미용업 창업, 유학 등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검정형 자격 시험 수수료는 필기는 14500 원, 실기는17200 원 이다.
자격명: 미용사(메이크업)
미용사 국가 자격증 중 메이크업 자격증은 영문명 Make up Artist 이다. 관련부처는 보건복지부이고 시행기관은 한국산업인력공단이다.
미용사(메이크업)자격증에 대한 개요를 살펴보면 메이크업에 관한 숙련기능을 가지고 현장업무를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전문기능인력을 양성하고자 자격제도를 제정한다.
수행 직무로는 특정한 상황과 목적에 맞는 이미지, 캐릭터 창출을 목적으로 이미지분석, 디자인, 메이크업, 뷰티코디네이션, 후속관리 등을 실행함으로서 얼굴·신체를 표현하는 업무 수행하는 것이다.
진로 및 전망을 살펴보면 메이크업아티스트, 메이크업강사, 화장품 관련 회사, 메이크업 미용업 창업, 고등 기술학교 등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검정형 자격 시험 수수료는 필기는 14500 원, 실기는 17200 원이다.
자격명: 미용사(일반)
미용사 국가 자격증 중 일반 자격증은 영문명 Hairdresser 이다 관련부처는 보건복지부이고 시행기관은 한국산업인력공단이다.
미용사(일반)자격증에 대한 개요를 살펴보면 미용업무는 공중위생분야로서 국민의 건강과 직결되어 있는 중요한 분야로 향후 국가의 산업구조가 제조업에서 서비스업 중심으로 전환되는 차원에서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분야별로 세분화 및 전문화 되고 있는 세계적인 추세에 맞추어 미용의 업무 중 헤어미용을수행할 수 있는 미용분야 전문인력을 양성하여 국민의 보건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하여 자격제도를 제정한다.
수행 직무로는 아름다운 헤어스타일 연출 등을 위하여 헤어 및 두피에 적절한 관리법과 기기 및 제품을 사용하여 일반미용을 수행하는 것이다.
진로 및 전망을 살펴보면 미용실에 취업하거나 직접 자신의 미용실을 운영할 수 있다. 미용업계가 과학화, 기업화 됨에 따라 미용사의 지위와 대우가 향상되고 작업조건도 양호해 질 전망이며, 남자가 미용실을 이용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많은 남자 미용 사가 활동하는 미용 업계의 경향으로 보아 남자에게도 취업의 기회가 확대될 전망이다. 공중위생법상 미용사가 되려는 자는 미용사자격취득을 한 뒤 시·도지사의 면허를 받도록 하고 있다.
(법 제9조) 미용사(일반)의 업무범위로는 파마, 머리카락 자르기, 머리카락 모양내기, 머리피부손질, 머리카락염색, 머리감기, 의료기기와 의약품을 사용하지 아니하는 눈썹손질 등이 있다.
검정형 자격 시험 수수료는 필기는 14500 원, 실기는 24900 원이다. 출제 경향은 헤어샴푸, 헤어커트, 헤어펌, 헤어 세팅, 헤어컬러링 등 미용작업의 숙련도, 정확성 평가 등 이다.
자격명: 미용사(피부)
미용사 국가 자격증 중 피부 자격증은 영문명 Esthetician 이다 관련부처는 보건복지부이고 시행기관은 한국산업인력공단이다.
미용사(피부)자격증에 대한 개요를 살펴보면 피부미용업무는 공중위생분야로서 국민의 건강과 직결되어 있는 중요한 분야로 향후 국가의 산업구조가 제조업에서 서비스업 중심으로 전환되는 차원에서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머리, 피부미용, 화장 등 분야별로 세분화 및 전문화 되고 있는 미용의 세계적인 추세에 맞추어 피부미용을 자격제도화 함으로써 피부미용분야 전문인력을 양성하여 국민의 보건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하여 자격제도를 제정한다.
수행 직무로는 얼굴 및 신체의 피부를 아름답게 유지·보호·개선 관리하기 위하여 각 부위와 유형에 적절한 관리법과 기기 및 제품을 사용하여 피부미용을 수행하는 것이다.
진로 및 전망을 살펴보면 피부미용사, 미용강사, 화장품 관련 연구기관, 피부미용업 창업, 유학 등이 있겠다 검정형 자격 시험 수수료는 필기는 14500 원, 실기는 27300 원이다.